메모리

카테고리 없음 / / 2023. 1. 1. 23:41

 

메모리는 크게 2가지가 있음

 

  • RAM : Random Access Memory. 휘발성. 읽고 쓸 수 있으며, 삭제 및 수정도 가능.
    • DRAM : Dynamic Ram : 가격이 저렴하고 용량이 큼. 기억내용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내용을 다시 쓰는 리프레시 동작이 필요. / 주기억장치로 자주 이용됨
    • SRAM : Static Ram : 가격이 비싼대신 읽고쓰는 속도가 매우 빠름. 기억내용을 보존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리프레시를 할 필요가 없음. / 캐시 메모리로 자주 이용됨
  • マスクROM : Read Only Memory : 불휘발성. 읽기 전용 메모리임 보통 공장에서 제조할 때 데이터를 써놓고, 이후 수정할 수 없음. 전자제품 등에 주로 사용됨.
    • PROM : Programmable ROM. ROM인데 유저가 직접 쓰는게 가능.
      • EPROM : Erasable PROM : 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삭제하고 다시 써넣을 수 있음.
      • EEPROM : Electrically EPROM 전기식으로 데이터를 삭제하고 다시 써넣을 수 있음.
      • フラッシュメモリー : EEPROM의 일종. 전부 삭제하는게 아닌,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삭제하고 다시 써놓을 수 있음.
  •  보조 기억 장치 : 메모리보다는 속도가 느리지만, 대용량이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.
  • 가상기억 (仮想記憶) : 메모리는 하드디스크보다는 빠르지만, 사이즈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큰 데이터를 다루거나하면 메모리에 들어가지 않을 때가 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다루는데 이를 가상 기억이라 함.
    • スワップアウト: 메모리가 처리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중 지금 당장 사용하지 않는 것의 일부를 하드디스크로 옮기고 메모리에 여유 공간을 만듬.
    • スワップイン : 스와이프 아웃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필요해질 경우 메모리가 처리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일부를 하드디스크에서 다시 메모리로 옮기는 행동.

위 두가지 행동을 통칭하여 スワッピング라고 한다.

하드디스크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스와이핑이 발생하면 컴퓨터의 처리 속도가 저하한다.

 

  • 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 : 보조 기억 장치 중에는 하드디스크 이외에도 구동장치(駆動装置)에서 기록매체를 간단하게 꺼낼 수 있다.
    • 光ディスク :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디스크매체. 매우 저렴하여 대중적으로 사용된다.
      CD-ROM, DVD-ROM 등이 있다. 
    • 光磁気ディスク : 레이저 뿐만 아니라 자기로도 쓸 수 있는 디스크매체. 읽는 건 레이저로만 가능
    • 磁気テープ : 자성체(磁性体)를 칠한 테이프를 사용하여 자기를 이용한 데이터 읽고쓰기가 가능. 
      매우 느리지만 대용량이기 때문에 주로 백업용 미디어로 사용함.
    • フラッシュメモリ : EEPROM의 일종을 보조기억장치로 만든 것.
      컴팩트하며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됨. SD카드, USB메모리가 있다.
  • SSD (Solid State Drive) : 내부에 디스크가 없고 대신 フラッシュメモリ를 기억매체로 내장한 장치.
    기계적인 구동장치가 없기 때문에 저전력이면서 충격에 강하다. 
    또한 하드디스크에서 행해지는 シーク(디스크의 읽기쓰기 위치를 정하는 동작)나 サーチ(디스크의 회전을 기다리는 동작)라는 게 없어서 매우 빠르게 읽고 쓸 수 있다.
    단, SSD에는 읽기 쓰기 횟수에 상한이 있으며 하드디스크와 비교해서 비싸다.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